본문 바로가기

TFT/황무지 개간팀

통섭적 사고놀이 - 크로스

 

간만에 책 포스팅 한 번 합니다. 읽을 때도 재미났지만 요즘 들어 왠지 다시 꺼내보고픈 책인 <크로스> 입니다. 생각해보니 이 책은 출간된 지도 좀 되었고, 구매한 지도 꽤 지났네요. 게다가 읽어보면 무척 쉽고 재미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상하게도 사놓고 우선순위에서 밀려 꽤 오래동안 읽게 되버린 듯 합니다. 미안! <크로스>.

무한 상상력을 위한 생각의 합체라는 부제를 달고 정재승 박사님진중권 교수님이라는 걸출한 인물들이 협업한 유명한 양서이지요.

진중권 / 작가,평론가
출생 1963년 00월 00일
신체
팬카페
상세보기

정재승 / 대학 교수,물리학자
출생 1972년 05월 50일
신체
팬카페
상세보기

유명한 책이니 간단히 소개만 합니다. 구성은, 

스타벅스, 20세기 소년, 구글, 헬로키티, 셀카, 성형, 프라다, 레고, 개그콘서트와 같이 친숙한 재료들즉, 우리 생활을 둘러싸고 있는 여러 문화적 현상이나 이슈를 두 분이서 각자 다른 관점으로 -진교수님은 철학과 미학적인, 정박사님은 이성적이고 과학적 사고로- 진단하고 이야기를 풀어낸 책입니다. 두 분 다 일당백의 명석한 논조와 필력을 품고 있어 읽기가 즐겁습니다.

 

그 중 이 책의 백미는 크로스오버 구성의 발상이지 않을까요? 부제와 제목에서 묻어나듯이, 각 이슈에 대한 두 분의 사고가 전혀 다를 것 같으면서도(상반되거나 대치하는 입장이 아님) 일면 통하는 접점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모순적인 흥미로운 조화가 읽는 내내 무척이나 즐겁고 신선합니다. 아직 못 보신 분이라면 필독을 권합니다^^

 

책 이야기는 여기서 줄이고요. 잡생각을 좀 더 해보려고 합니다. 근래 들어, 통섭이란 단어가 무척 많이 회자되고 학교는 물론 일반 사회 전반에서도 퍽이나 일반적인 개념으로 불리고 있는 듯 합니다.

통섭이란 : 위키피디아

일반인 저로서는 통섭이라는 용어를 접하게 된 게 불과 얼마되지 않았습니다. 개념적으로는 단지 그 전에 유통되었던 느슨한 의미의 유개념어들(퓨젼, 장르의 파괴, mash up, 꼴라주 등)과 같이 '異種의 무엇들을 아귀들을 맞춰 조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라는 정도의 뉘앙스로 생각하며 호기심과 가능성에 설레여 했던 정도인 듯합니다. 이 때는 지식의 통합과 인문학 등으로 다른 시선으로 분석해 보는 사회적인 분위기도 조금 감지되기도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러다 일전에 보았던 책(맛있는 지식뷔페 - 대중을 유혹한 학자 60인)에서 최재천 교수님의 글을 보게 되었고, 그제서야 통섭을 좀 더 명확히 알게 되고 참으로 흥미로운 학문이 아닐까하는 생각도 해봤습니다. 현대사회에 요구되는 인재상(http://goodgle.kr/977)과도 많이 비슷한 느낌이지요.  

 

 돌이켜 생각해보니 크로스도 통섭을 근간으로 탄생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비록 책 구성상 한 이슈를 통섭까지 발전시켜 주진 않습니다. 게다가 책 속에서 통섭이라는 용어도 쓰이지 않았고 당연히 통섭에 대한 학문적 접근 또한 없지요. 그렇지만 두 저자의 저변에 깔린 통섭적인 소양을 바탕으로 한 크로스의 기획과 탄생 자체가 통섭의 매력으로 전환되어 읽는 저에게 새로운 즐거움으로 다가오지 않았나 합니다. 저자 첫 말머리에서도 두 분은 발상의 즐거움을 강조하더라고요. 

 

얼마 전에 신간이 나온 것을 보았는데 기회를 좀 더 만들어, 최재천 교수님의 책들을 좀 더 읽어보고 통섭이란 녀석과 좀 더 친해져 봐야겠습니다. 크로스 막바지에 저자가 의도 했는지 안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통섭의 코드를 느낄 수 있는 구절이 있어 인용해보며 마칩니다.

 

키워드 21. 지식의 증명서? 혹은 사람의 가격? 박사

요즘 박사는 공부의 깊이가 얕고 너무 좁은 영역을 파고들기만한다며 `넓을 박(博)`의 박사가 아니라 `엷을 박(薄)`의 박사라고 경박해진 박사를 폄하하기도 한다.
- 337p

 

크로스무한상상력을위한생각의합계
카테고리 인문 > 인문학일반
지은이 정재승 (웅진지식하우스, 2009년)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