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FT/사교육 대책팀

마케터의 시선으로 본 한심한 교육당국

http://www.flickr.com/photos/nesster/3168425434/

종종, 빈번이라는 무색할 정도로 2009년에는 연중으로 교육정책에 대한 기사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주요 키워드로는 사교육비 경감, 공교육 정상화, 특목고, 자사고, 입학사정관, 영어몰입교육 등으로 정리가 될 수 있습니다.




chinck...키워드 역시 그들간의 연관성이 조금씩은 있긴한데 주종의 포지셔닝없이 뒤죽박죽으로 보입니다. 산탄통의 탄알구슬처럼 사방으로 키워드들이 재각기 퍼져나가는 느낌이지요. 일관성도 없고, 수박 겉핡기식으로 이리 땜빵 저리 땜빵 .. 이것이 소비자들이 내리고 있는 냉철한 판단인 것이죠. 큰일입니다.

chinck... by Tigresblanco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최근 기사를 보면 학원비규제 역시 위헌이라는 판결소식들이 속속 올라오고 있습니다. 가격과 교습시간에 무리수를 둔 정부로선 또 뒷통수 맞고 헛 짓을 하게된 꼴로 흘러가고 있는 거지요. 각종 대기업의 진출과 규제허용에는 관대하면서(미디어법, 마트) 교육기업에게는 각박하려고 애쓰는 정부의 이중잣대가 우습기도 하고요.


정부도 마케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소비자에 대한 이해가 너무도 안되어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공무원이 다 그렇지`라고 말할 수 없는 한계가 여기서도 발견되는거죠. 차관이나 고위공무원들이 매주 교육현장에 나간 들 뭐합니다. 그들은 소비자처럼 생각하고 그들이 시선에서 바라볼 준비가 안되어 있습니다.


우리의 소비자들은, 많은 학부모들은 교육비가 많은 돈이 지출된다고 한탄합니다. 경기침체와 맞물려 최후의 보루인 자녀교육에 대한 지출까지 걱정해야하는 상황인 것이지요. 또는 있는 자들은 별 걱정 없이 고급학원과 고가의 과외, 또는 유학길에 오르는 것 등등에 대한 현실속의 상대적 불안감일 수도 있습니다. 그들처럼 남부럽지 않게 자녀에게 투자하고 싶은데 현실은 우리의 그럴 수가 없으니까요. 그들처럼, 또는 비슷하게 교육시키기 위해서는 너무 많은 교육비를 지출해야 합니다.


사실 따지고 보면 소비자의 정확한 니즈는 교육평등이지 저렴한 교육을 원하는 것이 아닙니다. 여기서 첫번째 정부의 몰이해가 나타납니다. 무조건 눈에 보이는 일반적인 학원비를 제한하려고 하니, 문제의 대상인 특수학원이나 과외와 함께 정책의 피해자가 발생하는 것이지요.



두번째로, 공교육의 정상화 관점에서 생각을 해봅시다. 아마도 교육당국에는 궁극적인 목표가 아닐까 합니다. 많은 교육관련 전문가들이 지적하듯이, 일단 절대 일선 학교교사들은 학원강사처럼 교육서비스를 할 수 없습니다. (이 절대는 정책만 가지고, 단기간이라는 조건부적 개념입니다.) 그렇다고 학원사업을 죽이면, 학원비를 낮추면 공교육이 정상화 될까요? 소비자를 몰라도 너무 모르는 행태입니다.


Le funi che sorreggono un mondo (Le funi che sorreggono un mondo by Iguana Jo 저작자 표시비영리)

얽혀있는 공교육과 사교육, 그러나 다른 차원

 교육광국 대한민국에 있어서 교육당국이 해야할
 일은 사교육에 대한 니즈를 디마케팅해야하는
 것
입니다. 그들의 니즈를 줄이는 것 다시말해,
 -기를 쓰고 사교육업체를, 학원을 찾아 다닐 필요가
 없고, 남들이 다니는 학원에 안다니면서 불안해 할
 필요없는 상황-에 다한 정책과 교육환경이 요구되는
 것이지 교육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규제와  
 탄압으로는 자연발생한  교육니즈가 줄어들지 
 않습니다. 공교육과 사교육이 꽈악! 얽혀 있기에 영향이 끼칠 수 있다고  보는 걸까요? 소비자 마음 속에는 전혀 다른  맥락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사교육죽이기와 사교육의  디마케팅과는 완전 무관한 소리입니다. 



세번째, 교육당국의 알량한 자존심!
문화부 장관에 여러 배우와 감독이 재직을 했었습니다. 나름대로 특수 분야이기 때문에 그 분야에서 많은 실무과 경험, 고민을 가지고 지냈기에 그 가치가 있어 등용을 했다고 볼 수 있겠지요.[정부의 이미지메이킹용도 무시할 순 없습니다.] 또 얼마 전에는 Daum 전 부사장님이 청와대 비서관으로 임용되었다는 말도 있었지요? 하지만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교육정책에 학원이던 대학교던 학교던, 뭔가 실무에서 잔뼈가 굵어 온 교육전문가를 임용하여 중히 사용해보면 어떨까요? 어물쩡한 교육정책발표보다 임용사실 자체가 소비자들고 하여금 현실이해와 수용에 대해 더 많은 지지를 받을 수 있고 실제 펼치는 정책 역시 현실감이 있지 않을까요? 스페셜리스트 계약이나 제휴도 중요한 마케팅수단입니다.



자 여려분!
이쯤되면 교육당국에 탁상공론의 이론가 말고, 교육전문가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에헴~하면서 도장찍고 큰소리만 치는 무늬만 명예전문가는 정중히 사양하겠습니다.